아무튼, 술
저자 : 김혼비
국내도서 > 시 / 에세이 > 한국에세이

하이라이트
나에게는 어떤 대상을 말도 안 되게 좋아하면 그 마음이 감당이 잘 안돼서 살짝 딴청을 피우는, 그리 좋다고는 하지 못할 습관이 있다. 말도 안 되게 좋아하다 보면 지나치게 진지해지고 끈적해지는 마음이 검연쩍어 애써 별것 아닌 척한다.
그 누구에게도 나의 상태에 관해 단 한 마디도 하지 않은 건 손에 잡히는 이유가 없어서만은 아니었다. 누군가를 붙잡고 울며불며 고통을 호소하는 건 너무 뻔해 보였다. 안 그래도 비참한데 뻔하기까지 한 건 싫었다. 그냥 그때는 이렇게 힘들어도 티내지 않는 것이, 이렇게 힘들어도 누구에게 기대지 않고 혼자서 꿋꿋하게 '어른다운 방식'으로 넘어가고 있다는 그 기분이, 세상에게 부릴 수 있는 유일한 자존심이었다. 어렸다. 매우 어렸다. 빈 주머니에 그런 쓸데없는 똥자존심이라도 욱여넣어야 할 정도로. '감춤'으로써 그것은 나만 아는 은밀한 성장처럼 느껴졌다. 그런 느낌이 거짓이라고 해도 상관없었다. 어차피 간을 빼놓고 온 토끼도 거짓이니까.
말하지 않았어도 친구들은 눈치채고 있었다. 하지만 그들 또한 모르는 척 넘겨주는 게 가장 '어른다운 방식'이라고 생각했기에 내가 필요한 순간마다 그저 함께 술을 마셔줬고 마냥 놀아줬다. 그게 또 무척 고마웠다.
써 온 글에, 타인의 글을 읽어내는 방식에, 자주 쓰는 표현에, 좋아하는 문장에, 사람들의 성향과 성격이 지문처럼 묻어났다. 지나치게 진한 지문은 때때로 버거웠고, 너무 진하게 찍혔을까 봐 슬쩍 뭉개놓은 지문은 의뭉스러워 보여 신뢰가 안 갔는데 그는 항상 알맞은 진하기의 지문을 가장 익살스러운 각도로 찍어 놓는 사람이었다.
사실 웃을 수 있는 포인트가 비슷하다는 건, 이미 정치적 성향과 세계관이 비슷하다는 말을 포함하고 있다. 무엇을 유머의 소재로 고르는지 혹은 고르지 않는지(후자가 좀 더 중요한 것 같다) 그걸 그려내는 방식의 기저에 깔린 정서가 무엇인지는 많은 것을 말해주니까.
삶은 선택의 총합이기도 하지만 하지 않은 선택의 총합이기도 하니까. 가지 않은 미래가 모여 만들어진 현재가 나는 마음에 드니까.
이 취향의 세계에서 지속적 만족을 얻는 게 '현실적으로' 가능한가. 지속적 만족이 불가능하다면 그 반작용으로 생길 지속적 결핍감에 대처할 수 있는가. 취향 확장비(혹은 유지비)를 나의 노동력과 시간으로 환산했을 때, 충분히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고 망설임 없이 말할 수 있는가. 취향 확장비로 얻을 수 있는 다른 것들과 비교했을 때,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게 확실한가.
- 저자
- 김혼비
- 출판
- 제철소
- 출판일
- 2019.05.07
'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자기 결정>, 피터 비에리 - 김영하 북클럽 선정 도서 (0) | 2023.06.19 |
---|---|
<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>, 허지원 (0) | 2022.12.02 |
<역행자 >, 자청 (1) | 2022.12.01 |
<내게 무해한 사람>, 최은영 (0) | 2022.11.29 |
<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>, 은희경 (0) | 2022.11.28 |